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4)
20대 국회의원 선거 1948년 총선거가 있었으니 대한민국 국회가 시작된 역사가 아직 백년이 못되었다. 봄꽃이 활짝 핀 이 4월에 우리는 기억해야할 세월호참사가 있다. 그리고 20대 총선거가 있다. 아이들과 주제통합수업을 진행하면서 국어과의 토의의 절차와 방법, 사회과의 공동체 문제 해결하기, 도덕과의 책임을 다하는 삶 이렇게 세 교과의 단원을 묶어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함께 토론할 책으로 '정정당당 선거'라는 책을 골라 함께 읽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선거를 왜 하는지, 투표권이 왜 중요한 나의 권리인지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를 했다. 세월호참사가 왜 기억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이야기했다. 세월호참사 이전에도 비슷한 참사들이 일어났었는데 왜 우리는 그런 참사들을 기억하지 않고 자꾸만 되풀이되게 하는지 반성해보는 ..
이미 국정화였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두근두근 한국사 교과서의 공동저자인 배성호 선생님의 강연이 있었다.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고 특히 교과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는 배성호선생님의 강연이 이미 몇몇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국정화논란이후 초등학교 6학년 사회교과서에 수록된 몇몇 내용들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곧 나오게 될 국정화교과서의 면면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때문이었다. 이미 국정교과서를 사용했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는 작년에 개정되었으나 작년 6학년은 이미 5학년 때 역사를 모두 배웠기에 역사부분이 적용되는 과도기를 경험하느라 작년에 개정된 사회교과서의 역사부분은 올해 처음 학교현장에서 6학년에게 가르치도록 배포된 것이었다. 그러한 국정교과서는 작년 국정화논란을 겪고 난 이후에 나온 것이라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
수업을 공개해야한다? 공개수업을 의무화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라는 명목으로 수업을 연2회 이상 공개해야한다. 동료에게 그리고 학부모에게...그나마 동료와 학부모를 동시에 초대하는 우리 학교의 경우는 최소 2회 공개수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동료장학과 학부모공개수업을 별도로 추진하는 학교는 최소 3회 정도. 연구부장이 3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는 학기당 1회 동료장학을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그것도 다른 교사들보다 먼저 실시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 내가 물어봤다. "왜 경력많은 교사의 수업을 더 많이 보면 안될까요?""왜 경력교사가 먼저 수업을 보여주면 안되는 걸까요?" 신규시절을 한 번 떠올려보면 학급운영하기도 어려운데 학기초부터 수업장학을 해야한다는 이유로 수업안 하나 작성해서 연구부장 결재 얻어야지, 교감의 가르침을 반..
마을과 학교 2012년 이 시골마을의 작은 학교로 부임해왔을 때, 학교운영위원으로 활동했다. 늘 교장과 교감이 둘 다 들어간 학교운영위원회는 평교사의 입장을 대변해주지 못하는 구조였기에 학부모와 교사 간의 오해가 빚어지기도 했었다. 학교운영위원회에서 나온 의견이라며 교사들을 압박하기도 하는 교장과 교감도 많았고... 그 당시 학교운영위원회에서 몇몇 위원들이 학교 뒤 축사를 문제삼아 거론했다. 환경정화구역 내에 있는게 아니냐며 지자체에 민원을 넣겠다는 것이었다. 사실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파리가 들끓고 냄새가 장난이 아니긴 했다. 그런데 알아보니 환경정화구역 설정이전에 축사가 먼저 들어선 것이라 법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였다. 몇몇 학부모들은 지자체에 고발까지 했단다. 그 탓에 축사주인은 무허가 건물에 대한 세금..
중서부유럽여행 17일째ㅡ중세와 현대의 공존, 프랑크푸르트 소독을 했다는 숙소에서 여전히 벌레와의 전쟁을 치뤘다. 자다가 벌레 기어다니는 소리에 눈이 번쩍 뜨였고 벌레잡느라 잠을 설쳐댔다. 피부는 벌겋게 부어오르고 도대체 알 수 없는 벌레였다. 저렴한 숙소를 얻은 탓인지...여행의 막바지를 벌레때문에 시달릴 줄이야. (한국에 돌아와서 알게 된 사실, 유럽에 빈대가 극성이었다는 것. 나를 물었던 벌레는 빈대였던 것) 아침에 또다시 벌레이야기를 전했는데 갸우뚱거리는 직원들의 표정이 마치 우리 가족이 이상한 사람들인양. 중서부유럽여행에서의 마지막 하루를 프랑크푸르트에서 둘러보는 것으로... 마인강이 흐르고 있는 프랑크푸르트는 독일의 경제수도라고도 부른단다. 현대적 감각의 건물들과 중세 건물들이 함께 보여지는 도시였다. 구시청사가 있는 뢰머광장. 광장가운데에는 정의의 ..
중서부유럽여행 16일째ㅡ하이델베르그성 밤새 정체모를 벌레들과의 전쟁을 한 판 벌였더니 너무 피곤했다. 리셉션에 방에 벌레가 있는 것 같으니 소독을 강하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직원들은 그럴 리가 없다고 대답하며 일단 소독은 해주겠다고 하기에 신신당부를 하고는 프랑크푸르트에서 한시간 반쯤 열차를 타고 하이델베르크로 향했다. 블루베리가 지천에 널려 블루베리를 뜻하는 '하이델베레'와 산을 뜻하는 '베르크'가 합쳐져서 하이델베르크라는 지명을 얻게 되었단다. 사실 우리는 블루베리 구경도 못했는데 ㅜㅜ Konmarkt역에서 등산열차를 타고 올라가는 하이델베르크성 하이델베르크역에서 비스마르크 광장을 거쳐 마르크트 광장까지 하우프트거리를 걸어가는데 옛스런 건물들이 죽 늘어서 있었다. 독일에서 가장 오래 된 유서깊은 하이델베르크대학을 만나고 학칙을 어긴 학생..
중서부유럽여행 15일째-풍차의 나라에서 만난 담락거리 야간열차를 타고 자다깨다를 반복하면서 도착한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 침대칸에서 잘 잔 것 같고 아침 뷔페도 잘 먹었는데 몸은 찌뿌드드하니 왜 밤샌 느낌이지? '야간열차라는 게 이런 거였구나. 이 또한 여행이라 아침을 피곤하게 시작하겠구나' 싶었다. 승무원들이 아침식사를 가져다주었다. 침대칸에서 아침식사도 할 수 있고 좁긴하지만 별도로 세면대도 있어서 고양이세수하고 네덜란드를 관광할 준비를 했다. 바깥에 펼쳐진 너른 들판에 아침 일찍 소들이 풀을 뜯고 있는 평화로운 모습이 보였다. 네덜란드의 운하. 바다보다 육지가 낮은 지형적 악조건을 사람의 힘으로 극복해 냈다는 네덜란드에서 이 운하는 인력의 상징이기도 하단다. 이 운하를 통과하는 많은 배들을 볼 수 있었다. 4대강 사업으로 위장하고 우리 나라의 자연을 ..
중서부유럽여행 14일째-유럽남단에서 북단으로 야간열차를 로마문화의 감동을 새겨두고 하루종일 로마에서 암스테르담으로의 장시간 열차여행을 해야했다. 일단 로마에서 밀라노행 열차를 아침 9시 15분에 출발하여 세시간 소요, 밀라노에서 오후 1시 10분에 출발하여 17시 15분 스위스 취리히 도착, 다시 취리히에서 오후 8시 42분에 암스테르담을 향해 야간열차로 출발. 암스테르담에 도착하는 시각은 다음날 오전 8시. 열차에서 보내야할 시간이 이틀인 셈이다. 왜 이런 무모한 선택을 했는지 아님 특별한 선택을 했는지 판단은 서지 않았지만 주사위는 던져졌으니, 쮜리히 중앙역 앞에는 리마트 강이 흐르고 있었다. 역 주변의 풍경 역시 스위스의 풍경답게 예뻤다. 물론 도시적인 이미지 좀 더 많이 풍기지만 말이다. 스위스의 수도인 베른보다 좀 더 도시적인 듯 보였다. 사실 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