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생각하는 교육

교사도 아프다

 

교사상처.

1년차 새내기교사들이 첫 교직생활에 대해서 힘들어하기에 선물로 사준 책이다.

한 학기 내내 스트레스로 불만가득한 아이들과의 생활로 교사도 아프다.

 

최근 교사의 교육공무원법41조에 의한 방학 중 연수규정을 없애달라거나 아예 방학을 없애달라는 청원글이 있다고 들었다.

교육공무원법 41(연구기관 및 근무장소 외에서의 연수)에 의하면

교원은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소속 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아 연수기관이나 근무장소 외의 시설 또는 장소에서 연수를 받을 수 있다

라고 밝히고 있다.

이 조항에 의해 교사 대부분은 방학 중에 자택이나 해외를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성장을 위한 연수를 받거나 마음상처의 치유를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일부 관리자들은 방학 중에 교사들을 학교로 불러내고 싶어서 관리자 자신들의 근무일과 행정직원들의 근무를 핑계로 교사의 방학 중 41조 연수에 대해 교직원간의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말해왔다. 그럴 때마다 나는 교사로서 학기 중 휴가를 마음껏 쓸 수 없는 상황에 대한 형평성도 고려해달라고 항변했다.

교사로서 학기 중에 휴가를 쓰기엔 상당한 부담이 따르기에 대부분의 경우 학기 중 휴가를 쓰지 못한다. 복무규정에 의해 경력에 따라 연가일수가 정해져 있어 쓰고 싶을 때 쓸 수 있게 되어있지만 학기 중에는 학생들에게 미칠 학습권피해를 고려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면 연가 사용을 자제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렇게 연가를 쓰지 않는다고 해서 연가보상비를 지급받는 것도 아니다. 일반 직장인처럼 자녀의 학교행사에 쉽게 참여할 수도 없고 학기 중에 가족여행은 꿈도 꿀 수 없는 현실이며, 쉼이 필요한 순간에도 교사 자신의 휴식보다는 학생의 학습권을 더 고려해왔기에 방학 동안이라도 재충전의 시간을 가져야한다는 생각이다.

교사에게 방학은 단순히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편안한 시간이 아니라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는 분주한 시간이기도 하다.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사회의 모습들을 발빠르게 따라다녀야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좀 더 쓸모있는 배움을 전해줄 수 있는 그런 교사가 될 수 있는 시간이 방학인 것이다.

또한 교사의 근무와 일반 직장인의 근무를 동일 선상에 놓고 보는 경향이 있는데 교사의 근무시간은 아침 9시 출근해서 오후 5시 퇴근하면 업무가 끝나는 규칙적인 상황이 아니다. 새벽부터 한밤중까지 심지어는 휴일조차도 학부모나 학생, 그 밖에 학생과 관련한 누군가와의 상담이 돌발적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많다. 어찌보면 부모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학생들과 부대끼며 살아가고 있는 교사의 하루일과를 일반인들의 직장생활과 똑같다고 보는 시각들이 서운하기까지 하다.

교사들에게서 방학을 빼앗겠다는 것은 교사의 일을 학생을 가르치는 일보다는 행정적인 업무를 중심으로 보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학생을 가르치는 것은 잘 보이지 않는다. 무엇을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은 학생들과 교사가 그저 놀고 있는 줄 안다. 방학을 맞이하며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민원은 돌봄교실 운영과 방과후학교 운영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이들을 아침 일찍부터 학교에 맡겨놓고 싶고 가능한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를 바라는 맞벌이 학부모들의 심정을 모르는 것은 아니나 아침잠을 실컷 자고 싶고 동네에서 친구들과 신나게 뛰어놀고 싶은 어린 아이들의 마음이 배려받지 못하는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얼마 전 시민들이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요즘 교사들이 편하다는 글이 올라와 댓글로 설전을 벌인 일이 있다고 들었다. 예전처럼 교과서만을 가르쳐야 하고 배운 내용을 지필평가로 확인해서 학부모에게 알려주는 일이 교사의 일이라고 생각하는 학부모가 여전하다. 예전 같은 교육을 안하면 교사는 편하다고 생각하는 가보다.

내 경험에서 볼 때 주어진 교과서를 그대로 가르치고 그 내용만을 평가하고 학생들이 얻은 점수 그대로 통지하는 일이 훨씬 쉽다. 학부모들이 요구하는 강의식, 주입식, 암기식 수업이 교사의 노력을 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가르침만으로 21세기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고민해봐야한다. 최근에 학교현장에서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교사만의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의 배움을 이끌어내게 하고 있는데 교육과정 재구성이 말처럼 쉬운 작업이 아니다. 대학 졸업 후 곧바로 학교현장에 나온 새내기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말이 생소하여 당황한다.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와 지도서만 가르치면 되는 줄 알았고 그렇게 대학에서 배웠는데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라니 어찌해야할지 난감해한다. 또한, 대학에서 공부한 학생수준과 발달상황이 현장에서 맞닥뜨려졌을 땐 이론과 현실이 다름을 실감하며 개별 학생 하나하나에 대한 생활과 가르침의 방식을 배워야한다. 결국 대학에서 배운 내용보다는 졸업 후 학교현장에서 만나는 실전에 맞게 새롭게 공부해야 하는 게 요즘 젊은 교사들의 고충이다. 새내기교사들의 부모는 분명 대학을 보낼 때 좋은 직장을 선택할 수 있다는 생각만 했을 뿐 실제 학교현장에서 새내기교사들이 견뎌내야 하는 여러 가지 장면은 고려하지 않았을 것이리라. 그러니 새내기교사의 엄마가 자신의 자녀가 근무하는 학교에 가서 학생들에게 내 자식을 괴롭히지 말라며 혼내고 돌아갔다는 웃픈 소식도 들린다. 나의 아들딸은 교직을 선택하지 않았지만 가끔 가르치는 일만 한다면 교사를 하고 싶다고 말한다. 하지만 교사는 지식만 전달하는 역할로 끝이 아닌 걸....

교사가 가르침을 위해 해야할 일은 많다. 단순한 행정업무보다 교사가 해야할 본질적인 업무는 교육이다. 급변하는 세상을 살아갈 아이들에게 교사로서 무엇을 가르쳐야하는지 고민할 시간이 필요하고 교사도 끊임없이 배워야한다. 가르치기 위해서 배움의 시간도 필요하다. 또한 교사가 아프면 학생들에게도 그 상처가 전달될 수 밖에 없다. 교사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으려면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한 학기동안 쌓인 피로와 상처를 치유할 시간이 필요하다.

방학을 없앤다면 일반 직장처럼 아무 때나 휴가를 맘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줘야할 것이다. 법적으로 보장된 휴가조차 맘대로 쓰지 못하는 교사들에게서 방학을 빼앗겠다면 말이다.